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몸

독감 백신을 맞았는데도 독감에 걸리는 이유

by majisan 2025. 1. 10.

예방 접종을 해도 독감에 걸리는 이유
인플루엔자 백신

 

독감 백신을 맞았는데도 왜 독감에 걸리는 거죠?

진료실에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독감 백신 접종자의 약 30%가 독감 유사 증상을 경험했다고 합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독감 백신의 작용 원리와 백신 접종에도 불구하고 독감에 걸리는 다양한 원인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바이러스의 구조와 변이

독감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 표면에 헤마글루티닌(H)과 뉴라미니다아제(N) 단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이 바이러스의 가장 큰 특징은 매년 변이를 일으킨다는 점입니다.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변이가 발생합니다

항원 대변이: 돼지와 같은 동물에서 여러 바이러스가 동시 감염되어 유전자가 섞이는 현상

항원 소변이: 바이러스가 빠르게 돌연변이를 일으켜 새로운 항원이 생성되는 현상

 

백신의 작용 원리

면역 반응의 형성

독감 백신은 접종 후 약 2주가 지나야 항체가 형성됩니다.

이때 형성된 항체는 우리 몸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게 해줍니다.

 

백신의 한계

백신의 효과가 제한적인 주요 이유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측의 한계: WHO가 매년 권장하는 백신 바이러스 종류와 실제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다를 수 있습니다.

면역력 차이: 개인의 면역 상태에 따라 항체 생성 능력이 다릅니다.

시간적 한계: 백신의 면역원성은 약 6개월 정도만 지속됩니다.

 

독감 백신 접종 후 감염되는 사회적 원인

접종 시기의 문제

많은 사람들이 독감이 유행하기 시작한 후에 백신을 접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항체가 형성되기 전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집단 면역의 중요성

독감 예방접종률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어 집단 면역 형성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 독감 예방 접종률은 2020~202179%에서 2022~202371%까지 8% 이상 감소했습니다.

 

예방을 위한 추천사항

-적절한 시기(10-12)에 백신 접종하기

-손 씻기 등 기본적인 위생수칙 준수

-마스크 착용하기

-독감 유행 시기에 사람이 많은 장소 피하기

 

독감 바이러스의 빠른 변이, 개인의 면역력 차이, 접종 시기의 중요성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이해하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백신 접종이 무의미하다는 뜻은 절대 아닙니다.

독감 백신은 여전히 가장 효과적인 예방 수단이며, 설령 감염되더라도 증상을 현저히 완화시키고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결국 건강관리는 백신 접종 하나만으로는 완벽할 수 없습니다. 적절한 시기의 백신 접종과 함께 개인위생 관리,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 등 종합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번 겨울, 현명한 예방으로 건강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