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몸

2025년 의료 현장의 변화: PA 간호사 역할 확장된다.

by majisan 2025. 3. 12.

 

PA간호사
PA간호사 업무 확장된다

 

의료계에 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오는 6월부터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의 업무 범위가 대폭 확대될 예정입니다. 이는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한 의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으로, 현재 약 17000명에 달하는 PA 간호사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PA간호사 업무는?

이번 변경의 핵심은 PA 간호사에게 의사의 위임 하에 처방권을 부여한다는 점입니다. 특정 질환에 대해 약물이나 검사를 처방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직무 기술서에 명시됩니다. 또한, 골수·동맥혈 채취, 피부 절개·봉합 등 고난도 의료행위도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이외에도 영양관 삽입, 상처 드레싱, 직장 수지 검사 등 다양한 의료행위가 PA 간호사의 업무 범위에 포함됩니다.

PA간호사 업무는 공통, 심화, 특수 분야로 나뉘게 됩니다 

정부는 PA 간호사의 업무를 공통, 심화, 특수 분야로 나누어 규정했습니다. 공통 업무는 모든 PA 간호사가 수행할 수 있으며, 심화 업무는 숙련된 간호사와 전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합니다. 특수 업무는 에크모(ECMO) 장비 사용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업무를 포함합니다.

PA간호사 자격 

PA 간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3년 이상의 임상 경력과 관련 교육 이수가 필요합니다. 기존의 13개 분야 전문 간호사도 PA 간호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PA 간호사의 수가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상되는 문제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의료계에서는 의료 질 저하 가능성, 의료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 불명확, 의사 고유 업무 영역 침해 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병원이 복지부의 승인을 받아 PA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더 확대할 수 있다는 점도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번 PA 간호사 제도 확대는 의료 현장의 인력난 해소를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그러나 의료의 안전과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향후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의료계 전반의 의견을 수렴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제도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의료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인 의료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입니다.